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안에듀 로고 빅모의고사 로고

문제은행 공통과목

이동할 직렬을 선택해주세요.

닫기
로그인 지안에듀 바로가기
문제은행

지안에듀의 문제은행을 실전처럼 활용해보세요.

2022 국가직 9급 국어 시험 목록 바로가기

  1. 문제은행

20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

  • 1

    밑줄 친 말의 쓰임이 옳지 않은 것은?

     

    해설

    ①, ④ 능력을 썩히고(○), 기계를 썩히고(○): ‘썩다’의 사동사로 ‘물건이나 사람 또는 사람의 재능 따위가 쓰여야 할 곳에 제대로 쓰이지 못하고 내버려진 상태에 있게 하다’는 뜻으로 모두 적절하게 쓰였다.
    ② 쓰레기를 썩혀서(○): ‘썩히다’는 ‘썩다’의 사동사로 ‘유기물이 부패 세균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원래의 성질을 잃어 나쁜 냄새가 나고 형체가 뭉개지는 상태가 되게 하다.’는 뜻으로 적절하게 쓰였다.
    ③ 부모님 속을 썩혀(×) →부모님 속을 썩여(○): ‘썩다’(마음이 몹시 괴롭다)의 사동사로 ‘썩이다’가 올바른 표현이다.

  • 2

    (가) ~ (라)를 고쳐 쓴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오빠는 생김새가 나하고는 많이 틀려.
    (나) 좋은 결실이 맺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다) 내가 오직 바라는 것은 네가 잘됐으면 좋겠어.
    (라) 신은 인간을 사랑하기도 하지만 시련을 주기도 한다.

     

    해설

    해설
    ① ‘다르다’는 ‘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아니하다.’는 의미로 오빠의 생김새와 나의 생김새를 서로 비교하는 것으로 보아 ‘틀려’를 ‘달라’로 고치는 것은 적절하다.
    ② 바램이다(×) →바람이다(○): ‘바램‘은 ’바람’의 잘못된 표기법이다. 바라다는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의 의미로 고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
    ③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가 맞지 않으므로 고치는 것이 적절하다.
    ④ 서술어 ‘주다’는 ‘주어는 에게 ~을 주다.’의 형태로 쓰이기 때문에 ‘인간에게’를 넣어 고쳐 쓴 것이 적절하다.

  • 3

    사자성어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해설
    ① 구곡간장(九曲肝腸): 꼬불꼬불한 창자와 간. 시름과 한이 가득 찬 마음속을 일컫는 말.
    ② 곡학아세(曲學阿世): 정도를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을 이르는 말.
    ③ 구밀복검(口蜜腹劍): 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는 말로 겉으로는 절친한 척하지만 내심으로는 음해할 생각을 하거나 돌아서서 헐뜯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④ 당랑거철(螳螂拒轍): 사마귀가 수레를 막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힘을 헤아리지 않고 강자에게 함부로 덤빔.

  • 4

    다음 대화에서 나타난 ‘지민’의 의사소통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수: 지난번에 너랑 같이 들었던 면접 전략 강의가 정말 유익했어.
    지민: 그랬어? 나도 그랬는데.
    정수: 특히 아이스크림 회사의 면접 내용이 도움이 많이 됐어.
    지민: 맞아. 그중에서도 두괄식으로 답변하라는 첫 번째 내용이 정말 인상적이더라. 핵심 내용을 먼저 말하는 전략이 면접에서 그렇게 효과적일 줄 몰랐어. 정수: 어! 그래? 나는 두 번째 내용이 훨씬 더 인상적이었는데.
    지민: 그랬구나. 하긴 아이스크림 매출 증가에 관한 통계 자료를 인용해서 답변한 전략도 설득력이 있었어. 하지만 초두 효과의 효용성도 크지 않을까 해.
    정수: 그렇긴 해.

     

    해설

    해설
    ① 지민이 자신의 면접 경험의 예로 들어 정수를 설득하는 부분은 찾을 수 없다.
    ② 지민이 상대방의 약점을 공략거나 상대방의 이견을 반박하고 있는 부분은 찾을 수 없다.
    ③ 지민이 ‘그랬구나’와 ‘하긴~ 설득력 있었어.’의 대답에서는 상대방의 견해를 존중하고 있으며, ‘하지만 초두 효과의 효용성도 크지 않을까해’에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④ 지민은 상대방에 대한 견해를 존중하며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였고, ‘정수’가 ‘그렇긴 해’라고 답하는 것으로 보아 갈등은 일어나지 않았다.

  • 5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승상이 말을 마치기도 전에 구름이 걷히더니 노승은 간 곳이 없고 좌우를 돌아보니 팔낭자도 간 곳이 없었다. 승상이 놀라 어찌할 바를 모르는 중에 높은 대와 많은 집들이 한순간에 사라지고 자기의 몸은 작은 암자의 포단 위에 앉아 있었는데, 향로의 불은 이미 꺼져 있었고 지는 달이 창가에 비치고 있었다.
    자신의 몸을 보니 백팔염주가 걸려 있고 머리를 손으로 만져보니 갓 깎은 머리털이 까칠까칠하더라. 완연한 소화상의 몸이요, 전혀 대승상의 위의가 아니었으니, 이에 제 몸이 인간 세상의 승상 양소유가 아니라 연화도량의 행자 성진임을 비로소 깨달았다.
    그리고 생각하기를, ‘처음에 스승에게 책망을 듣고 풍도옥으로 가서 인간 세상에 환도하여 양가의 아들이 되었지. 그리고 장원급제를 하여 한림학사가 된 후 출장입상하고 공명신퇴하여 두 공주와 여섯 낭자로 더불어 즐기던 것이 다 하룻밤 꿈이었구나. 이는 필시 사부가 나의 생각이 그릇됨을 알고 나로 하여금 이런 꿈을 꾸게 하시어 인간 부귀와 남녀 정욕이 다 허무한 일임을 알게 하신 것이로다.’
    - 김만중, 「구운몽」에서 -

     

    해설

    김만중의 <구운몽>은 환몽 구조의 소설로 ‘현실 → 꿈 → 현실’의 구성으로 내용이 전개된다. 양소유는 팔선녀를 만나 부위 공명을 누리며 화려한 인생을 산다. 그러던 중 인생의 무상함을 느낀 양소유는 호승에 의해 꿈에서 깨어나 인간 세상의 양소유가 아닌 연화 도령의 ‘성진’임을 알게 되고 부귀영화를 누린 것인 하룻밤 꿈에 지나지 않음을 깨닫고 불도에 정진하기로 한다.
    ① 2번째 문단에 ‘처음에 ~ 양가의 아들이 되었지. 그리고 장원급제를 하여 한림학사가 된 후’로 보아 적절하다.
    ② 양소유는 스스로 성진의 모습으로 돌아온 것이 아닌 꿈에서 깨어나 인간 세상의 양소유가 아닌 연화 도령의 ‘성진’임을 깨달은 것이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③ ‘이에 제 몸이 인간 세상의 승상 양소유가 아니라 연화도량의 행자 성진임을 비로소 깨달았다.’의 부분을 통해 성진이 있는 곳은 인간 세상이 아닌 라는 것을 보여준다.
    ④ ‘자신의 몸을 보니 백팔염주가 걸려 있고 ~ 성진임을 비로소 깨달았다.’를 보아 꿈을 꾸고 있다 현실로 돌아왔음을 보여준다.

  • 6

    (가) ~ (라)의 ㉠ ~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간밤의 부던 람에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落落長松)이 다 기우러 가노라
    믈며 못다 픤 곳이야 닐러 무슴 리오.
    (나) 철령 노픈 봉에 쉬여 넘 져 구룸아
    고신원루(孤臣寃淚) 비 사마 여다가
    계신 구중심처(九重深處)에 려 본들 엇리.
    (다) 이화우(梨花雨) 흣릴 제 울며 잡고 이별 님
    추풍낙엽(秋風落葉)에 ㉢ 도 날 각가
    천리(千里)에 외로온 만 오락가락 노매.
    (라) 삼동(三冬)의 뵈옷 닙고 암혈(巖穴)의 눈비 마자
    구롬  볏뉘도  적이 업건마
    서산의 ㉣ 디다 니 그 셜워 노라.

     

    해설

    ① (가)는 계유정난으로 인해 억울하게 해를 입은 충신들을 의미한다.
    ② (나)는 유배를 당해 귀양을 가면서 지은 시조로 ㉡은 임금을 의미한다.
    ③ (다)는 임과 이별한 화자가 낙엽이 떨어지는 가을에 임을 그리워하면서 ‘저’(=임) 자신을 그리워하는지 궁금해 하고 있다.
    ④ 서산의 해가 지는 것은 임금의 승하를 비유한다.

  • 7

    ㉠ ~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 그들의 끈기가 이 경기의 승패를 ㉠ 했다.
    ― 올해 영화제 시상식은 11개 ㉡으로 나뉜다.
    ― 그 형제는 너무 닮아서 누가 동생이고 누가 형인지 ㉢ 할 수 없다.

     

    해설

    해설⦁가름: 승부나 등수 따위를 정하는 일.
    ⦁가늠: 사물을 어림잡아 헤아림.
    ⦁부분: 전제를 이루는 작을 범위, 또는 전체를 몇 개로 나눈 것의 하나.
    ⦁부문: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거나 나누어 놓은 낱낱의 범위나 부분.
    ⦁구별: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남. 또는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갈라놓음
    ⦁구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전체를 몇 개로 갈라 나눔

  • 8

    다음 글의 ‘동기화 단계 조직’에 따라 (가) ~ (마)를 배열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설득하는 말하기의 메시지를 조직하는 방법으로 ‘동기화 단계 조직’이 있다. 이 방법의 세부 단계는 다음과 같다.
    1단계: 주제에 대한 청자의 주의나 관심을 환기한다.
    2단계: 특정 문제를 청자와 관련지어 설명함으로써 청자의 요구나 기대를 자극한다.
    3단계: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청자의 이해와 만족을 유도한다.
    4단계: 해결 방안이 청자에게 어떤 도움이 되는지 구체화한다.
    5단계: 구체적인 행동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여 특정 행동을 요구한다.

    (가) 지난주 제 친구는 일을 마친 후 자전거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다가 사고를 당해 머리를 다쳤습니다.
    (나) 여러분이 자전거를 탈 때 헬멧을 착용하면 머리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다) 아마 여러분도 가끔 자전거를 타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매년 2천여 명이 자전거를 타다가 머리를 다쳐 고생한다고 합니다.
    (라) 만약 자전거를 타는 모든 사람이 헬멧을 착용한다면 자전거 사고를 당해도 뇌손상을 비롯한 신체 피해를 75 % 줄일 수 있습니다. 또 자전거 타기가 주는 즐거움과 편리함을 안전하게 누릴 수 있습니다.
    (마) 자전거를 탈 때는 안전을 위해서 반드시 헬멧을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해설

    (가)는 자전거 사고로 머리 부상에 대한 주제를 환기한다. (동기화 1단계)
    (다) ‘여러분도’이라는 단어를 지칭하며 자전거 머리 부상과 청자를 연관 지어 설명하고 있다. (동기화 2단계)
    (나) 헬멧 착용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동기화 3단계)
    (라) 헬멧을 착용한다면 사고의 피해를 줄이고 타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고 청자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도움을 주는지 언급하고 있다. (동기화 4단계)
    (마) ‘헬멧 착용하자.’는 특정 요구를 하고 있다. (동기화 5단계)

  • 9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 ○○시는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복지 서비스 분석 사업을 수행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자체 확보한 공공 데이터와 ○○시로부터 받은 복지 사업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복지 공감 지도’를 제작하고, 복지 기관 접근성 분석을 통해 취약 지역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복지 공감 지도는 공간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시에 소재한 복지 기관들의 다양한 지원 항목과 이를 필요로 하는 복지 대상자,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수급자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 지도를 활용하면 복지 혜택이 필요한 지역과 수급자를 빨리 찾아낼 수 있으며, 생필품 지원이나 방문 상담 등 복지 기관의 맞춤형 대응이 가능하고, 최적의 복지 기관 설립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이 사업을 통해 ○○시는 그동안 복지 기관으로부터 도보로 약 15분 내 위치한 수급자에게 복지 혜택이 집중되고 있는 것도 확인했다. 이에 교통이나 건강 등의 문제로 복지 기관 방문이 어려운 수급자를 위해 맞춤형 복지 서비스가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임을 발견하고, 복지 셔틀버스 노선을 4개 증설할 계획을 수립했다.

     

    해설

    ① 1문단의 ‘‘복지 공감 지도’를 제작하고, 복지 기관 접근성 분석을 통해 취약 지역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을 통해 알 수 있다.
    ② 3문단의 ‘도보로 약 15분 내 위치한 수급자에게 복지 혜택이 집중되고 있는 것도 확인했다.’의 부분을 통해 복지 기관과 수급자 거주지 사이의 거리는 복지 혜택의 정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③ 3문단의 복지 기관과 거주지 사이의 복지 혜택의 정도 차이와 복지 기관의 방문이 어려운 수급자들의 복지 셔틀버스 노선 증설의 근거가 된다.
    ④ 복지 공감 지도로 복지 혜택에 대한 수급자들의 개별 만족도에 대한 부분을 글에서 찾아볼 수 없다.

  • 10

    ㉠ ~ ㉣의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단어의 의미가 변화하는 양상은 다양하다. 첫째, “아침 먹고 또 공부하자.”에서 ‘아침’은 본래의 의미인 ‘하루 중의 이른 시간’을 가리키지 않고 ‘아침에 먹는 밥’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밥’의 의미가 ‘아침’에 포함되어서 ‘아침’만으로도 ‘아침밥’의 의미를 표현하게 된 것으로, ㉠ 두 개의 단어가 긴밀한 관계여서 한쪽이 다른 한쪽의 의미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변화하게 된 경우이다. 둘째, ‘바가지’는 원래 박의 껍데기를 반으로 갈라 썼던 물건을 가리켰는데, 오늘날에는 흔히 플라스틱 바가지를 가리킨다. 이것은 ㉡ 언어 표현은 그대로인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지시 대상 자체가 바뀌어서 의미 변화가 발생한 경우이다. 셋째, ‘묘수’는 본래 바둑에서 만들어진 용어이지만 일상적인 언어생활에서도 ‘쉽게 생각해 내기 어려운 좋은 방안’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는 ㉢ 특수한 영역에서 사용되던 말이 일반화되면서 단어의 의미가 변화한 경우에 해당한다. 넷째, 호랑이를 두려워하던 시절에 사람들은 ‘호랑이’라는 이름을 직접 부르기 꺼려서 ‘산신령’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이는 ㉣ 심리적인 이유로 특정 표현을 피하려다 보니 그것을 대신하는 단어의 의미에 변화가 생긴 경우이다.

     

    해설

    ① ‘밥’의 의미는 ‘아침’에 포함되어있다는 것처럼 ‘코’도 ‘콧물’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② ‘바가지’가 박의 껍데기로 만든 것이었지만 오늘날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을 뜻한다. 마찬가지로 ‘수세미’는 그 식물인 수세이었지만 오늘날은 그릇을 씻는데 물건을 뜻한다. 언어 표현은 그대로지만 대상이 바뀐 것으로 보아 같은 사례이다.
    ③ ‘묘수’는 특수한 영역에서 사용되던 것이 일반화되면 단어의 의미가 변화한 것에 비해 ‘배꼽’은 일반 영역에서의 사용이 바둑에서 특수하게 변화된 것으로 ㉢의 사례로는 적절하지 않다.
    ④ 질병에 대한 두려움으로 특정 표현을 피하기 위해 전염병인 ‘천연두’를 ‘손님’이라고 불렀다는 것은 적절한 예시이다.]

  •  
  • 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