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안에듀 로고 빅모의고사 로고

문제은행 공통과목

이동할 직렬을 선택해주세요.

닫기
로그인 지안에듀 바로가기
문제은행

지안에듀의 문제은행을 실전처럼 활용해보세요.

2022 군무원 9급 국어 시험 목록 바로가기

  1. 문제은행

25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

  • 11

    다음 중 ㉠ ~ ㉢에 알맞은 말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먼 곳의 물체를 볼 때 물체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이 눈 속으로 들어가면서 각막과 수정체에 의해 굴절되어 망막의 앞쪽에 초점을 맺게 되면 망막에는 초점이 맞지 않는 상이 맺힘으로써 먼 곳의 물체가 흐리게 보인다. 이것을 근
    시라고 한다.
    근시인 눈에서 보고자 하는 물체가 눈에 가까워지면 망막의 ( ㉠ )에 맺혔던 초점이 ( ㉡ )으로 이동하여 망막에 초점이 맺혀 흐리게 보이던 물체가 선명하게 보인다. 그리고 이 지점보다 더 가까운 곳의 물체는 조절 능력에 의하
    여 계속 잘 보인다.
    이와 같이 근시는 먼 곳의 물체는 잘 안 보이고 가까운 곳의 물체는 잘 보이는 것을 말한다. 근시의 정도가 심하면 심할수록 눈 속에 맺히는 초점이 망막으로부터 ( ㉢ )으로 멀어져 가까운 곳의 잘 보이는 거리가 짧아지고 근시의 정도가 약하면 꽤 먼 곳까지 잘 볼 수 있다.

     

    해설

    ㉠: ‘빛이 눈 속으로 들어가면서 각막과 수정체에 의해 굴절되어 망막이 앞쪽에 맺게 되는~’라고 한다. 근시인 눈에서는 망막의 앞쪽에 초점이 맺히기 때문에 ‘앞쪽’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 근시는 망막의 앞쪽에 초점이 맺혀 먼 곳의 물체를 흐리게 보이게 하기 때문에 물체가 선명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망막보다 앞쪽에 맺혔던 상이 뒤쪽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즉 ‘뒤쪽’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 근시의 정도가 심한 것은 눈 속에 맺히는 초점이 망막으로부터 앞쪽으로 더 멀어져 가까운 곳의 잘 보이는 거리가 짧아진다. 즉 ‘앞쪽’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 12

    다음 중 ㉠을 가리키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


    “허, 참, 세상 일두…….”
    마을 갔던 아버지가 언제 돌아왔는지,
    “윤초시댁두 말이 아니어. ㉠그 많든 전답을 다 팔아 버리구, 대대루 살아오든 집마저 남의 손에 넘기드니, 또 악상꺼지 당하는 걸 보면…….”
    남폿불 밑에서 바느질감을 안고 있던 어머니가,
    “증손이라곤 기집애 그 애 하나뿐이었지요?”
    “그렇지. 사내애 둘 있든 건 어려서 잃구…….”
    “어쩌믄 그렇게 자식복이 없을까.”

    -황순원, <소나기> 중에서

     

    해설

    전답을 다 팔아 버리고 살던 집마저 넘겼는데 또한 악상까지 당하는 상황이다. 밑줄 친 부분은 나쁜 일이 잇따라 일어나는 상황을 의미한다. ‘고장난명(孤掌難鳴)’은 외손뼉은 울릴 수 없다는 뜻으로, 혼자서는 일을 이루지 못하거나, 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되지 않음을 일컫는 한자성어로 밑줄 친 ㉠을 가리키기에 적절하지 않다.

  • 13

    밑줄 친 말이 한자어와 고유어의 결합이 아닌 것은?

     

    해설

    ‘아수라장(阿修羅場)’은 한자어로만 이루어진 말이다.
    아수라장: 싸움이나 그 밖의 다른 일로 큰 혼란에 빠진 곳./阿 언덕 아, 修 닦을 수, 羅 그물 라, 場 마당 장

  • 14

    다음 중 아래의 작품과 내용 및 주제가 가장 비슷한 것은?

     

    해설

    <사미인곡>은 유배지의 자신을 임에게 버려진 상황으로 표현하며 임을 그리워하고 있다.
    ③은 임을 사모하고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 홍랑의 시조로, 임과 이별한 화자가 자신의 마음을 묏버들로 전하고자 한다.
    <사미인곡>과 ③은 임에 대한 그리움을 주제로 삼았다는 면에서 주제가 비슷하다.

  • 15

    다음 중 표준어가 아닌 것은?

     

    해설

    깡충깡충(X) → 깡충깡충(○): 표준어 규정 제8항에 따라 ‘깡충깡충’(O)으로 표준어로 삼고 ‘깡총깡총’(X)을 버린다.
    나머지는 모두 표준어이다.

  • 16

    다음 중 아래 글의 내용을 포괄하여 설명하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

    주체 경어법은 용언에 선어말 어미 ‘-시-’를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만약 여러 개의 용언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라면 일률적인 규칙을 세우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문장의 마지막 용언에 선어말어미 ‘-시-’를 쓴다. 또한 여러 개의 용언 가운데 어휘적으로 높임의 용언이 따로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그 용언을 사용해야 한다.

     

    해설

    제시글은 주체 높임 문장에서 높임을 선어말 어미 ‘-시-’를 쓰고 여러 개의 용언이 사용된 경우 문장의 마지막 용언에 쓴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어휘적으로 높임의 용언이 따로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그 용언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를 모두 만족하는 것은 ➃에 해당한다.
    ‘주무시고 가셨다’에서 마지막 용언 ‘가다’ 용언에 선어말 어미 ‘-시-’를 넣어 주체 높임의 용언 ‘가셨다’를 만들어 ‘-시-’의 어미를 사용과 여러 용언의 경우 문장의 마지막 용언에 사용한다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자다’를 높임의 특수 어휘인 ‘주무시다’로 높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위 글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 17

    아래의 글에 나타나지 않는 설명 방식은?

    텔레비전에서는 여러 종류의 자막이 쓰인다. 뉴스의 경우, 앵커가 기사를 소개할 때에는 앵커의 왼쪽 위에 기사 전체의 내용을 요약하거나 핵심을 추려 제목 자막을 쓴다. 보도 중간에는 화면의 하단에 기사의 제목이나 소제목을 자막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보도 내용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핵심적인 내용이나 세부 자료도 자막으로 보여준다.
    관객이나 시청자가 읽을 수 있도록 화면에 보여 주는 글자라는 점에서 영화에서 쓰이는 자막도 텔레비전 자막과 비슷하게 활용된다. 그런데 영화의 자막은 타이틀과 엔딩 크레디트 그리고 번역 대사가 전부이다. 이는 모두 영화 제작과 관련된 정보를 알려주는 제한된 용도로만 사용된다. 번역 대사는 더빙하지 않은 외국영화의 대사를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텔레비전에서는 영화에서 쓰는 자막을 모두 사용할 뿐 아니라 각종 제목과 요약 내용을 나타내기도 하고 시청자의 흥미를 돋우기 위해 말과 감탄사를 표현하기도 한다. 음성으로 전달할 수 없는 다양한 정보를 제작자의 의도에 맞게끔 자막을 활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해설

    이 글은 유추가 사용되지 않았다. 유추란 같은 종류의 것 또는 비슷한 것에 기초하여 다른 사물을 미루어 추측하는 방식을 말한다.

  • 18

    다음 중 (가) ~ (다)를 문맥에 맞는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최근 수십 년간 세계 각국의 정부들은 공격적인 환경보호 조치들을 취해왔다. 대기오염과 수질오염, 살충제와 독성 화학물질의 확산, 동식물의 멸종 위기 등을 우려한 각국의 정부들은 인간의 건강을 증진하고 인간 활동이 야생 및 원시 지역에서 만들어 낸 해로운 결과를 줄이기 위해 상당한 자원을 투자해왔다.

    (가) 그러나 이러한 규제 노력 가운데는 막대한 비용을 헛되이 낭비한 것들도 상당수에 달하며, 그중 일부는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를 오히려 악화시키기도 했다.
    (나) 이 중 많은 조치들이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 이를테면 대기오염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수십만 명의 조기 사망과 수백만 가지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었다.
    (다) 예를 들어, 새로운 대기 오염원을 공격적으로 통제할 경우, 기존의 오래된 오염원의 수명이 길어져서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대기오염을 가중시킬 수 있다.

     

    해설

    다음 제시문은 세계 각국의 적극적인 환경보호 조치에 대한 내용이다.
    (가) 환경보호 규제의 부정적 결과
    (나) 환경보호 조치의 긍정적 결과
    (다) 환경보호 규제의 실패한 예시

    (나)에서 ‘이 중 많은 조치들’로 볼 때 제시문에서 언급한 조치들로 볼 수 있다. 또한 (가)에서 ‘그러나’로 볼 때 앞선 내용으로 긍정적인 측변을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나) → (가)의 순서가 되어야 한다. (다)는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예시이므로 (가) 다음으로 오는 것이 적절하다.

  • 19

    다음 중 밑줄 친 부분과 같은 수사법이 쓰인 것은?


    흰 수건이 검은 머리를 두르고
    흰 고무신이 거친 발에 걸리우다.

    흰 저고리 치마가 슬픈 몸집을 가리고
    흰 띠가 가는 허리를 질끈 동이다.

    - 윤동주, <슬픈 족속>

     

    해설

    지문의 밑줄 친 부분은 고난과 슬픔을 겪고 있는 우리 민족을 가리키면 대유법이 사용되었다.

  • 20

    밑줄 친 말의 표기가 잘못된 것은?

     

    해설

    공기밥(X) → 공깃밥(○): 합성어 공깃밥은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나 [공긷빱/공기빱]으로 발음되므로 ‘공기’와 ‘밥’을 합성할 때 사잇시옷을 적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