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동할 직렬을 선택해주세요.
지안에듀의 문제은행을 실전처럼 활용해보세요.
총 20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
메밀의 생리생태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생육적온은 35°C로 비교적 고온이다.
꽃은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아랫부분으로 개화한다.
자가수정을 하며, 동형화 사이의 수분으로도 수정이 가능하다.
발아에서 개화최성기까지 약 70mm 정도의 강우량이 필요하다.
벼의 발아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혐기 조건에서도 아밀라아제 활성이 높고 발아가 가능하다.
흡수기 동안 볍씨의 수분 함량은 25~30% 정도가 된다.
생장기는 수분 흡수가 다시 왕성해지는 시기이다.
발아는 흡수기-활성기-발아 후 생장기의 과정으로 이어진다.
쌀의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급속한 건조는 동할미를 발생시킨다.
저장고의 온도는 실온인 20°C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품질에 좋다.
유리지방산의 산도는 저장상태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적기수확한 벼를 수분 함량 15%까지 건조한 후 저장한다.
작물의 염색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재배벼는 2배체로 염색체 수는 24개이다.
보통계 빵밀의 유전적 특징은 이질 6배체이다.
보통귀리는 3배체로 염색체 수는 21개이다.
대두콩은 2배체로 염색체 수가 40개이다.
작물의 시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벼의 분얼비는 모내기 후 30일 전후 시용하는 것이 좋다.
감자는 비료의 전량을 기비로 시용하는 것이 재배 관리상 유리하다.
고구마는 칼리질 비료와 퇴비의 효과가 크다.
옥수수는 전개엽수가 7엽기 전후에 총 질소 비료 요구량의 절반을 추비로 시용한다.
(가)~(다)의 고구마 괴근에 대한 설명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씨고구마에서 발생한 뿌리가 비대한 것이다.(나)줄기의 마디에서 발생한 뿌리가 비대한 것이다.(다)파종한 씨고구마 자체가 비대한 것이다.
콩의 기상생태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위도일수록 일장에 둔감하고 생육기간이 짧은 하대두형이 재배된다.
한계일장이 긴 품종일수록 일장반응이 늦게 일어나 개화가 늦어진다.
추대두형은 남부의 평야지대에서 맥후작의 형식으로 재배된다.
같은 시기에 파종할 경우 개화기 및 성숙기는 대체로 여름콩이 가장 빠르다.
비료 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질산태질소를 유기질 비료와 배합하면 시용 후에 질산이 환원되어 소실된다.
암모니아태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비료에 석회와 같은 알칼리성 비료를 배합하면 암모니아가 기체로 변한다.
과인산석회에 칼슘이 함유된 알칼리성 비료를 배합하면 인산의 용해도가 증가한다.
석회염을 함유한 비료에 염화물을 배합하면 흡습성이 높아져서 굳어지기 쉽다.
김매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땅콩은 개화 초기에는 김매기를 하고 북을 준다.
조는 솎은 후에는 1~2회 정도 김매기를 얕게 하여 뿌리가 끊기지 않도록 한다.
고구마는 생육 초기에 김매기 효과가 대체로 적다.
콩은 김매기와 북주기를 겸하여 실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맥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귀리의 백수성은 한 이삭의 상부보다 하부로 갈수록 많이 발생한다.ㄴ. 보리 종실의 수확 적기는 이삭이 황화되는 고숙기이다.ㄷ. 밀, 보리 모두 출수 후 20일이 지나면 배가 정상적인 발아력을 갖는다.ㄹ. 밀은 대체로 출수와 동시에 개화가 이루어지는데 기온이 낮으면 폐화수정이 된다.ㅁ. 호밀의 개화는 한 이삭에서 중앙부의 소수가 최초로 개화하고 점차 상하부의 소수로 진행한다.
ㄴ, ㅁ
ㄱ, ㄷ, ㅁ
ㄱ, ㄴ, ㄷ, ㄹ
ㄱ, ㄷ, ㄹ, 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