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동할 직렬을 선택해주세요.
지안에듀의 문제은행을 실전처럼 활용해보세요.
총 20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
벼의 유수 발육과 출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수절간의 신장은 출수와 동시에 정지한다.
영화분화기는 출수 전 24일경에 시작하고, 엽령지수는 87~92이다.
엽이간장이 0이 되는 시기는 감수분열 성기에 해당한다.
유수분화기는 출수 전 30일경에 시작된다.
수수절간은 출수, 개화 후에도 1~2일 간 신장을 계속하기 때문에 이삭은 수수절로부터 추출되어 밖으로 10~20cm 노출된다.
논토양에서 무기양분 동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기태질소는 암모니아화작용에 의하여 암모니아로 변한다.
질산태질소는 토양교질에 흡착되지 않으므로 토양 속으로 용탈된다.
유기태질소는 무기태로 전환되어 식물체로 흡수된다.
암모니아태질소는 환원층에서 환원되어 질산태로 변한다.
암모니아태 질소는 산화층에서 산화되어 질산태로 변한다.
다음은 벼 기상생태형에 대한 설명이다. (가)~(다)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저위도지대인 적도 부근은 연중 고온과 단일의 환경이므로 감온성이나 감광성이 큰 것은 출수가 빨라져서 생육기간이 짧고 수량이 적으나, 감온성ㆍ감광성이 작고 기본영양생장성이 큰 기본영양생장형(Blt 형)은 연중 고온ㆍ단일인 환경에서도 생육기간이 길어서 다수성이 되므로 주로 이러한 품종이 분포한다.•중위도지대에서는 서리가 늦게 오므로 어느 정도 늦게 출수해도 안전하게 성숙할 수 있고, 또 이러한 품종들이 다수성이므로 주로 이러한 품종들이 분포한다. 감온성ㆍ감광성이 작고 기본영양생장성이 비교적 큰 기본영양생장형(Blt형)이나 기본영양생장성ㆍ감온성이 작고 감광성이 큰 감광형 (bLt형)이 이것이다. 감온형(blT형) 품종들도 조생종으로 존재한다.•고위도지대에서는 기본영양생장성ㆍ감광성ㆍ감온성이 모두 작아서 생육기간이 짧은 blt 형이나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이 작고 감온성이 커서 일찍 고온에 감응하는 감온형(blT 형)이 일찍 출수하여 안전하게 성숙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상생태형들이 분포한다.
옥수수 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세대 정도 자식을 하면 식물체의 크기가 작아지고 수량이 감소한다.
1대잡종품종 개발을 위해 자식계통의 조합능력이 우수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종자회사에서 개발하여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품종은 대부분 합성품종이다.
단교잡종은 복교잡종에 비해 잡종강세가 높으나 종자생산량이 적다.
종자회사에서 개발하여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품종은 거의 대부분 1대교잡종품종이며 극히 일부는 합성품종이다.
재배벼의 분화와 생태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아시아 재배벼는 수도와 밭벼, 그리고 메벼와 찰벼로 구분된다.
통일형 벼는 인디카 품종과 온대자포니카 품종을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원연교잡종이다.
인디카는 낟알의 형태가 대체로 길고 가늘며, 온대자포니카는 짧고 둥글다.
인디카는 생태형이 단순한 반면 온대자포니카와 열대자포니카는 생태형이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열대자포니카는 1년 중 어느 때 파종하여도 생육일수가 일정한 비계절성인 특성이 있으며 밭벼로 발달하였다.•온대자포니카를 재배하는 지역에서는 대부분 1년에 한 번 논에 벼농사를 짓는다. 그러므로 열대자포니카와 온대자포니차는 생태형이 단순하다.•그러나 인디카를 재배하는 지역에서는 우기와 건기에 모두 벼를 재배할 수 있어 1년에 2~3작의 벼농사가 이루어지므로 재배양식이 복잡하여 생태형이 많이 생겼다.
벼잎의 형태와 생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1엽 엽신은 극히 미소하여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아 불완전엽이라 한다.
주간 엽수는 만생종이 조생종에 비하여 더 많으며 재배시기가 늦어지면 감소한다.
벼잎은 엽신이 급신장하고 있는 시기에 1매 아래 잎의 엽초가 급신장하는 동시신장의 규칙성을 갖는다.
벼잎은 생존기간이 엽위에 따라 다르며 성숙기에 한 줄기당 가장 많은 엽수를 갖는다.
•벼 잎의 활동기간은 하위엽일수록 짧고, 상위엽일수록 길며 특히 지엽이 가장 길다. 기능을 마친 벼 잎은 줄기 아래의 늙은 잎부터 말라죽는다.•개체군의 잎면적지수는 출수 직전까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여 수확기에 급격히 낮아진다. 그 이유는 이삭팰때까지는 새끼친줄기 수와 잎 수가 증가하고 수확기에는 하위엽이 고사하기 때문이다. 개체군의 잎면적지수는 출수 직전에 최대가 된다.
벼의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잎집무늬마름병은 조기이앙․밀식․다비재배 등 다수확재배로 발생이 증가한다.
검은줄오갈병은 애멸구에 의해 매개되며, 벼의 키가 작아지고 작은 흑갈색의 물집모양 융기가 생긴다.
끝동매미충은 유충상태로 월동하며, 유충과 성충이 잎집에서 양분을 빨아먹는다.
직파재배를 계속하면 일반적으로 피와 더불어 올방개와 벗풀과 같은 1년생 잡초가 우점한다.
직파재배를 계속하면 일반적으로 피가 우점한다. 피는 1년생, 올방개와 벗풀은 다년생이다.
벼 이앙재배의 물관리 및 시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활착기에는 물을 얕게 관개하여 토양에 산소공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분얼기에는 물을 깊게 관개하여 생장점을 보호하고 분얼을 촉진한다.
분얼비는 비효가 수수분화기까지 지속되지 않을 정도로 알맞게 준다.
냉해나 침관수 및 도복발생 상습지는 질소질, 인산질 비료를 증시하는 것이 좋다.
① 활착기에는 모내기 후 7~10일간은 식상방지를 위해 6~10cm 정도로 깊게 관개한다. 모 키의 1/2~2/3 정도가 물에 잠겨야 증산이 억제되어 식상이 방지된다.② 분얼기에는 물을 1~3cm 정도의 깊이로 얕게 관개하여 분얼을 증대시킨다. 관개수심이 얕으면 낮에는 햇볕이 쪼여 생장점 부근의 온도가 올라가고 밤에는 낮아져 온도자극으로 분얼이 촉진된다. 수온보다 기온이 낮아 냉해가 우려되는 지대에서는 심수관개로 보온을 한다.④ 일조시간이 적은 논, 냉해나 침관수 및 도복발생 상습지는 질소질을 20~30% 정도 감비하고, 인산질 및 칼리질은 20~30% 정도 증비하는 것이 좋다.
쌀 저장 시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호흡소모와 수분증발 등으로 중량의 감소가 나타난다.
현미의 지방산도가 25KOHmg/100g 이상이면 변질의 징후를 나타낸다.
배유의 저장전분이 분해되어 환원당 함량이 증가한다.
현미의 수분함량이 16%이고 저장고의 공기습도가 85%로 유지되면 곰팡이 발생의 염려가 없다.
현미의 수분함량이 15%이면 저장고의 공기습도가 80% 이하로 유지되므로 곰팡이가 발생할 염려가 없으나, 현미의 수분함량이 16%이면 공간습도가 85% 정도 되므로 여름 고온시에는 곰팡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두류의 토양 적응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완두는 건조와 척박한 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낮고 강산성토양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
강낭콩은 알맞은 토양산도가 pH6.2~.3이고, 염분에 대한 저항성은 약하다.
동부는 산성토양에도 잘 견디고 염분에 대한 저항성도 큰 편이다.
팥은 토양수분이 적어도 콩보다 잘 발아할 수 있지만 과습에 대한 저항성은 콩보다 약하다.
•완두는 서늘한 기후(7~24℃) 에서 잘 자라며 산성 토양, 과습한 토양에 약하다.•토양은 배수가 잘되고 부식이 풍부한 양토나 사양토가 가장 알맞고, 건조와 척박한 토양에 대한 적응성은 낮다. 토양산도는 pH 6.5~8.0이 알맞으며, 강산성토양에는 극히 약하고, 석회가 풍부한 중성 내지 약염기성의 토양이 알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