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안에듀 로고 빅모의고사 로고

문제은행 공통과목

이동할 직렬을 선택해주세요.

닫기
로그인 지안에듀 바로가기
문제은행

지안에듀의 문제은행을 실전처럼 활용해보세요.

2022 국가직 9급 조림 시험 목록 바로가기

  1. 문제은행

20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

  • 11

    (가)~(다)에 해당하는 풀베기 방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햇빛을 다량 요구하는 양수 수종의 조림지에 일반적으로 적용한다.
    (나) 현장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으로 한해, 풍해 등이 예상되는 지역에 적용한다.
    (다) 군상식재지 등 조림목의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경우 적용한다.

     

    해설
  • 12

    (가)~(다)에서 설명하는 우리나라 천연림 숲가꾸기에서 적용하고 있는 수관급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미래목과 함께 선발되지는 않았으나, 미래목과 충분한 거리로 떨어져 있어 미래목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임분구성에 필요한 예비목이다.
    (나) 형질불량목, 피해목이지만 임분구성상 남겨 두는 나무이며 차후 간벌대상이 된다.
    (다) 하층임관을 이루고 있는 유용한 임목으로 미래목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고 수간 하부 가지의 발달을 억제하는 나무이다.

     

    해설
  • 13

     

    해설
  • 14

    산림묘포와 실생묘 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솎아내기는 본엽이 나온 때와 약 8월 하순경 실시한다. 솎기 비율은 횟수가 2회인 경우에는 솎는 본수로 보아 50%씩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3회인 경우에는 각각 40%, 30%, 30%의 비율로 한다.

  • 15

    다음의 특징을 가진 산림해충은?

    ○ 유충과 성충이 모두 나뭇잎을 식해한다.
    ○ 월동한 성충은 4월 하순부터 어린잎을 식해한다.
    ○ 유충은 엽육만 먹기 때문에 잎이 붉게 변한다.
    ○ 성충은 체장이 7mm 내외이고 체색은 남색이다.

     

    해설
  • 16

    데라사키의 B종 간벌 방법은?

     

    해설
  • 17

    가지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느티나무·가시나무 등 활엽수종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지 기부에 3~4cm 또는 10~12cm의 잔지를 남겨 생가지를 친다. 이와 같이 하면 잔지가 고사해서 인공적인 보호층이 형성된다. 수년 뒤 잔지는 자연적으로 떨어지기도 하나 다시 절단하도록 하는데, 이것을 2회치기법이라 한다(가지치기의 방법 중 특수법).

  • 18

    수분부족에 대한 수목의 반응과 내건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진정내건성 식물(true drought tolerant) : 진정내건성 식물은 심한 건조 상황에서도 여러 방법으로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세포 내에 충분한 삼투용질을 가지고 탈수가 일어나지 않게 하거나 또는 세포 내 용질의 농도를 높여서 삼투퍼텐셜을 낮추어 잎의 팽압을 유지하고 광합성을 계속한다. 수목에서 이러한 진정내건성을 나타내는 수종(소나무·은행나무·리기다소나무·상수리나무 등)은 증산을 억제할 수 있는 회피능력이 잘 발달해 있다. 그리고 심한 탈수가 일어나더라도 물질대사에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지의류·선태류 등은 잎의 수분퍼텐셜이 -52~100MPa이어도 광합성을 한다.

  • 19

    산림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우리나라의 토양 구성 목 중 토양이 어느 정도 발달하였지만 특징적인 토양층이 나타나지 않는 Inceptisols이 가장 널리 분포한다.

  • 20

    산불의 진화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산불 진화를 위해서는 산불 초기나 불길이 약할 때는 화두부터 꺼나가고, 불길이 심할 때는 측면부터 꺼들어가서 화두면을 좁혀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

  •  
  • 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