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동할 직렬을 선택해주세요.
지안에듀의 문제은행을 실전처럼 활용해보세요.
총 20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
(가)~(다)에 해당하는 풀베기 방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햇빛을 다량 요구하는 양수 수종의 조림지에 일반적으로 적용한다.(나) 현장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으로 한해, 풍해 등이 예상되는 지역에 적용한다.(다) 군상식재지 등 조림목의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경우 적용한다.
(가)~(다)에서 설명하는 우리나라 천연림 숲가꾸기에서 적용하고 있는 수관급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미래목과 함께 선발되지는 않았으나, 미래목과 충분한 거리로 떨어져 있어 미래목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임분구성에 필요한 예비목이다.(나) 형질불량목, 피해목이지만 임분구성상 남겨 두는 나무이며 차후 간벌대상이 된다.(다) 하층임관을 이루고 있는 유용한 임목으로 미래목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고 수간 하부 가지의 발달을 억제하는 나무이다.
70
105
175
235
산림묘포와 실생묘 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파종묘포는 종자를 뿌려 실생묘 양성을 주목적으로 하는 묘포이다.
물푸레나무는 조파하고 가문비나무는 산파한다.
파종상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입고병은 주로 Rhizoctonia와 Fusarium 속에 의해 발생한다.
불량한 묘목의 최초 솎음작업은 발아된 유묘의 자엽이 출현할 때 시행한다.
솎아내기는 본엽이 나온 때와 약 8월 하순경 실시한다. 솎기 비율은 횟수가 2회인 경우에는 솎는 본수로 보아 50%씩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3회인 경우에는 각각 40%, 30%, 30%의 비율로 한다.
다음의 특징을 가진 산림해충은?
오리나무잎벌레
잣나무넓적잎벌
대벌레
매미나방
데라사키의 B종 간벌 방법은?
4급목과 5급목을 제거하고 2급목의 소수를 벌채하는 방법
상층수관을 강하게 벌채하고 3급목을 남겨서 수간과 임상이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하는 간벌 방법
최하층의 4, 5급목 전부와 3급목의 일부, 그리고 2급목의 상당수를 벌채하는 방법
우세목을 벌채하여 그 아래에 자라는 나무의 생육을 촉진하는 간벌 방법
가지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침엽수는 절단면이 줄기와 평행하도록 가지를 절단한다.
활엽수는 지융부가 상하지 않도록 가지를 제거한다.
가문비나무와 자작나무는 부후위험성이 있으므로 죽은 가지와 쇠약한 가지를 잘라 준다.
느티나무와 가시나무는 가지 기부에 잔지를 남기지 않고 생가지를 자른다.
느티나무·가시나무 등 활엽수종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지 기부에 3~4cm 또는 10~12cm의 잔지를 남겨 생가지를 친다. 이와 같이 하면 잔지가 고사해서 인공적인 보호층이 형성된다. 수년 뒤 잔지는 자연적으로 떨어지기도 하나 다시 절단하도록 하는데, 이것을 2회치기법이라 한다(가지치기의 방법 중 특수법).
수분부족에 대한 수목의 반응과 내건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은행나무와 상수리나무는 진정내건성 수종이 아니다.
건조 회피를 위해 수목은 수분을 절약하거나 수분 흡수를 높이는 전략을 혼용한다.
건조탈출형 식물은 뿌리/지상부 비율이 크다.
체내 단백질 합성이 감소하고 ABA(Abscisic acid) 합성이 증가한다.
진정내건성 식물(true drought tolerant) : 진정내건성 식물은 심한 건조 상황에서도 여러 방법으로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세포 내에 충분한 삼투용질을 가지고 탈수가 일어나지 않게 하거나 또는 세포 내 용질의 농도를 높여서 삼투퍼텐셜을 낮추어 잎의 팽압을 유지하고 광합성을 계속한다. 수목에서 이러한 진정내건성을 나타내는 수종(소나무·은행나무·리기다소나무·상수리나무 등)은 증산을 억제할 수 있는 회피능력이 잘 발달해 있다. 그리고 심한 탈수가 일어나더라도 물질대사에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지의류·선태류 등은 잎의 수분퍼텐셜이 -52~100MPa이어도 광합성을 한다.
산림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불포화상태의 토양에서 토양수 이동은 주로 기질퍼텐셜에 의해 일어난다.
우리나라의 토양 구성 목 중 Entisols의 비율이 가장 높다.
토양의 공극률은 입자밀도와 용적밀도를 파악하여 구할 수 있다.
오리나무와 공생하는 토양 내 Frankia 질소고정균은 소귀나무와도 공생한다.
우리나라의 토양 구성 목 중 토양이 어느 정도 발달하였지만 특징적인 토양층이 나타나지 않는 Inceptisols이 가장 널리 분포한다.
산불의 진화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맞불은 간접진화 방법이다.
산소를 순간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직접진화 방법이다.
산불의 규모가 큰 경우 화두에서부터 신속히 진화를 시작한다.
불이 난 임지의 뒷불정리는 광물질 토양이 노출되도록 한다.
산불 진화를 위해서는 산불 초기나 불길이 약할 때는 화두부터 꺼나가고, 불길이 심할 때는 측면부터 꺼들어가서 화두면을 좁혀 들어가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