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안에듀 로고 빅모의고사 로고

문제은행 공통과목

이동할 직렬을 선택해주세요.

닫기
로그인 지안에듀 바로가기
문제은행

지안에듀의 문제은행을 실전처럼 활용해보세요.

2025 지방직 9급 컴퓨터일반 시험 목록 바로가기

  1. 문제은행

20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

  • 1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의 성질이 아닌 것은?

     

    해설
    ∎트랜잭션의 ACID
    ∙원자성(Atomicity) : 트랜잭션 내의 모든 연산은 반드시 한꺼번에 완료되어야 하며, 그렇지 못한 경우는 한꺼번에 취소되어야 한다(All or Nothing).
    ∙일관성(Consistency)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한다.
    ∙격리성(Isolation) : 트랜잭션이 실행 중에 있는 연산의 중간 결과는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 못한다.
    ∙영속성(Durability) : 트랜잭션이 일단 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그 결과를 영구 기억장치에 저장해야 한다.
  • 2

    IP 주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① IPv4는 4바이트(32비트) 주소 체계이다.
    ③ IPv6의 헤더 크기는 40바이트 고정이다.
    ④ IPv4 주소가 143.248.166.12이면 클래스 B에 해당한다.
  • 3

    EBCDIC(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표현할 수 있는 문자 수는 총 256개이다.
    ㄴ. 6비트를 사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ㄷ. 7개의 데이터 비트와 1개의 패리티 비트로 구성되어 총 8개의 비트를 사용한다.

     

    해설
    ∙ EBCDIC(엡씨딕, 확장된 2진화 10진 코드)은 BCD 코드에 2개의 zone bit를 추가한다.
    ㄴ. 8비트를 사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ㄷ. 4개의 zone 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구성되어 총 8개의 비트를 사용한다.
  • 4

    다음은 입력으로 들어온 배열 [70, 11, 31, 3, 17, 9, 32, 23]에 대하여 오름차순으로 버블 정렬 알고리즘의 수행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으로 (가)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버블 정렬은 인접한 레코드의 키 값을 비교해서 그 크기에 따라 교환하는 방식으로, 각 단계마다 가장 큰(작은) 키 값을 갖는 레코드를 마지막에 위치시킨다.
  • 5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적용한 컴퓨터만을 모두 고르면?

    ㄱ. EDSAC(Electronic Delay Storage Automatic Computer)
    ㄴ. EDVAC(Electronic Discrete Variable Automatic Computer)
    ㄷ. ENIAC(Electronic Numerical Integrator And Computer)
    ㄹ. MARK I

     

    해설
    에니악(ENIAC, 1946년) → 에드삭(EDSAC, 1949년) → 에드박(EDVAC, 1950년) → 유니박(UNIVAC, 1951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사용한 컴퓨터는 에드삭(EDSAC)이며, 이후에 나온 컴퓨터는 모두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적용한 컴퓨터이다.
  • 6

    운영체제에서 가변 분할 메모리 관리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비어 있는 메모리 상태를 순서대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새로운 프로세스가 12Kbyte 크기의 메모리를 요청하여 4번 위치로 할당되었다면, 이때 적용된 메모리 할당 기법은?

     

    해설
    ② 최악 적합(worst fit) --> 3번 할당
    ③ 최적 적합(best fit) --> 4번 할당
    ④ 최초 적합(first fit) --> 2번 할당
  • 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운영체제의 메모리 영역은?

    프로세스 내에서 함수가 호출될 때 지역변수, 매개변수와 함수가 실행을 마치고 돌아갈 주소 등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다.

     

    해설
    ① 데이터(data) 영역 : 전역변수와 정적변수가 저장되는 메모리 공간
    ② 스택(stack) 영역 : 함수의 매개변수, 복귀 주소 및 지역변수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
    ③ 코드(code) 영역 :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
    ④ 힙(heap) 영역 : 프로그램 실행 중에 동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
  • 8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③ RARP는 MAC 주소로부터 IP 주소를 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 9

    다음 이진 트리를 중위 순회하는 경우 방문 순서는?

     

    해설
    이진트리의 중위(Inorder) 순회는 왼쪽 자노드의 끝까지 이동해서 그 노드를 방문하고 부노드, 오른쪽 자노드를 방문하는 원리이다. 즉, 「왼쪽(좌)→중간(부)→오른쪽(우)」 순으로 트리를 운행한다.
  • 1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술은?

    현실을 디지털 기반의 가상 세계로 확장해 가상 공간에서 모든 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이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반적 측면에서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는 생활형, 게임형 가상 세계라는 의미로 넓게 사용한다.

     

    해설
    ① 메타버스(metaverse) : 확장 가상 세계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universe를 합성한 신조어이다. 현실을 디지털 기반의 가상 세계로 확장해 가상 공간에서 모든 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시스템이다.
    ②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이다.
    ③ 텔레메틱스(telematics) : 자동차를 기반으로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자동차용 원격정보 서비스 기술이다.
    ④ NFT(Non-Fungible Token) : 대체 불가능 토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가상 자산으로, 고유한 인식 값이 있어 다른 것으로 대체하거나 복제할 수 없고 소유권도 명확히 할 수 있다.
  •  
  • 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