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안에듀 로고 빅모의고사 로고

문제은행 공통과목

이동할 직렬을 선택해주세요.

닫기
로그인 지안에듀 바로가기
문제은행

지안에듀의 문제은행을 실전처럼 활용해보세요.

2025 국가직 9급 컴퓨터일반 시험 목록 바로가기

  1. 문제은행

20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

  • 1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컴퓨팅 자원(하드웨어/소프트웨어)에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한 환경을 의미하는 기술은?

     

    해설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업의 IT 요구를 매우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게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즉,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자원을 임대서비스의 형태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 2

    스택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해설
    은행 대기열은 큐(Queue)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 3

    블록체인의 특징이 아닌 것은?

     

    해설
    블록체인이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도 임의로 수정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이다.
  • 4

    기억장치에 저장될 데이터 또는 기억장치로부터 읽은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CPU 내부 레지스터는?

     

    해설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Memory Buffer Register)는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기억장치에 저장될 데이터 혹은 기억장치로부터 가져온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 5

    언어 번역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언어 번역 프로그램에는 어셈블러, 컴파일러, 인터프리터가 있다. 워드프로세서는 문서 편집 프로그램이다.
  • 6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릴레이션의 함수 종속 관계에서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면 보이스/코드 정규형(BCNF)에 속한다.
  • 7

    다음 프로세스 메모리 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전역 변수는 스택(stack) 영역에 할당된다.
    ㄴ. 프로그램 코드는 텍스트(text) 영역에 적재된다.
    ㄷ. 힙(heap) 영역은 프로세스 실행 중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이다.
    ㄹ. 함수의 매개변수, 복귀 주소 및 지역변수는 데이터(data) 영역에 할당된다.

     

    해설
    ㄱ. 지역 변수는 스택(stack) 영역에 할당된다.
    ㄹ. 함수의 매개변수, 복귀 주소 및 지역변수는 스택(stack) 영역에 할당된다.
  • 8

    다음 TCP와 UDP의 공통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연결 지향 프로토콜이다.
    ㄴ. 헤더에 근원지(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포트 번호가 존재한다.
    ㄷ. 네트워크에서 손실된 패킷에 대한 재전송 기능이 있다.
    ㄹ. 체크섬(checksum)이 헤더에 존재한다.
    ㅁ. 헤더 크기가 동일하다.

     

    해설
    ㄱ. 연결 지향 프로토콜이다. - TCP
    ㄷ. 네트워크에서 손실된 패킷에 대한 재전송 기능이 있다. - TCP
    ㅁ. 헤더 크기가 동일하다.(TCP:20Byte 이상 가변적, UDP:8Byte 고정적)
  • 9

    다음과 같이 접근 시간이 주어졌을 때, 캐시 적중률은? (단, 캐시 적재 시간과 캐시 적중 여부 검사 시간은 제외한다)

    ○ 평균 기억장치 접근 시간=2.5ms
    ○ 주기억 장치 접근 시간=11.5ms
    ○ 캐시 기억장치 접근 시간=1.5ms

     

    해설
    Taverage = Hhit-ratio * Tcache + (1-Hhit-ratio) * (Tmain)
    Taverage = 평균기억장치 접근시간, Tcache = 캐시 기억장치 접근시간
    Tmain = 주기억장치 접근시간, Hhit-ratio = 적중률(A)
    2.5 = A*1.5+(1-A)*11.5 = 1.5A+11.5-11.5A = -10A + 11.5
    10A = 9 이고 A(적중률) = 0.9 이다.
  • 10

    다음 그림은 TCP 기반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소켓 통신을 위한 함수 호출 관계를 나타낸다. (가)~(다)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해설
    TCP handshake 프로토콜은 SYN, ACK 등의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진행된다. 본 문제에서는 연결 과정을 추상화하여 request(), listen(), accept(), connect(), close() 등의 함수로 표현하였다. 먼저 서버는 클라이언트측의 요청에 언제든 대응할 수 있도록 listen() 함수를 통해 대기상태로 진입한다. 클라이언트는 연결 요청인 request() 함수를 통해 서버에 연결 요청을 보낸다. 요청을 받은 서버는 accept() 함수를 통해 요청을 받아들이고, 데이터 송수신 상태로 진입한다. 이후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으며(=송수신) 로직을 처리한다.
  •  
  • 1
  • 2
  •